







중국의 AI, 어디까지 왔나?
- “AI로 세계 1등 국가” 중국의 큰 그림
2030년까지 AI 1등 국가 목표
중국은 2017년 발표한 ‘차세대 AI 발전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세계 AI 최강국이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위해 세 단계 목표를 세웠습니다.
1. 2020년: 주요 AI 기술 따라잡기
2. 2025년: 혁신적 AI 기술 확보
3. 2030년: AI 세계 리더국가 도약
이미 코로나 시기부터 AI 기술을 국가 보건 및 안보 분야에 폭넓게 적용했고, 지금도 군사·산업 전반에서 AI를 적극 활용 중입니다.
인재와 기술력도 '세계 2위권'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많은 AI 연구 인재와 논문 발표 수를 자랑합니다.
화웨이, 알리바바, 바이두, 딥시크(DeepSeek) 등 자국 빅테크 기업이 AI 챗봇과 모델 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엔비디아 GPU 없이도 자체 AI 반도체인 어센드910D를 개발했습니다.
AI 기술을 ‘국방’에 직접 활용
중국은 군사 분야에서도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AI 얼굴인식 기술로 방역·치안 통제에 활용하고, 드론·감시장비 등에 AI 기반 기술을 접목하여 AI를 '국제 평화에 기여하는 기술'로 포장하고 있죠.
오픈소스 AI도 빠르게 확대
중국은 라마(LLaMA)와 유사한 오픈소스 AI 모델을 자체 개발하고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을 통해 전 세계 개발자 생태계를 유인하고, 기술 영향력을 키우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안성 등은 아직 검증 중입니다.
미국 규제를 피해 ‘우회 수입’도 시도
미국이 엔비디아 칩 수출을 막자, 중국은 중동과 아프리카 등을 경유한 우회 수입을 시도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AI 핵심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희토류와 원자재로 ‘역제재’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한에 대응해, 중국도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광물 자원 수출을 제한하는 맞불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략물자 관리”라는 명분으로, 희토류·갈륨·게르마늄 등의 자원 무기화를 시도하고 있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중국은 국가 주도로 AI에 막대한 자본과 정책적 집중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기술력뿐 아니라 외교·안보 전략과 연계된 AI 외교전도 본격화 중입니다.
한국도 민간 중심 AI 발전을 넘어서, 정책·국가안보·기술자립을 포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중국의 AI, 어디까지 왔나?
- “AI로 세계 1등 국가” 중국의 큰 그림
2030년까지 AI 1등 국가 목표
중국은 2017년 발표한 ‘차세대 AI 발전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세계 AI 최강국이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위해 세 단계 목표를 세웠습니다.
1. 2020년: 주요 AI 기술 따라잡기
2. 2025년: 혁신적 AI 기술 확보
3. 2030년: AI 세계 리더국가 도약
이미 코로나 시기부터 AI 기술을 국가 보건 및 안보 분야에 폭넓게 적용했고, 지금도 군사·산업 전반에서 AI를 적극 활용 중입니다.
인재와 기술력도 '세계 2위권'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많은 AI 연구 인재와 논문 발표 수를 자랑합니다.
화웨이, 알리바바, 바이두, 딥시크(DeepSeek) 등 자국 빅테크 기업이 AI 챗봇과 모델 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엔비디아 GPU 없이도 자체 AI 반도체인 어센드910D를 개발했습니다.
AI 기술을 ‘국방’에 직접 활용
중국은 군사 분야에서도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AI 얼굴인식 기술로 방역·치안 통제에 활용하고, 드론·감시장비 등에 AI 기반 기술을 접목하여 AI를 '국제 평화에 기여하는 기술'로 포장하고 있죠.
오픈소스 AI도 빠르게 확대
중국은 라마(LLaMA)와 유사한 오픈소스 AI 모델을 자체 개발하고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을 통해 전 세계 개발자 생태계를 유인하고, 기술 영향력을 키우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안성 등은 아직 검증 중입니다.
미국 규제를 피해 ‘우회 수입’도 시도
미국이 엔비디아 칩 수출을 막자, 중국은 중동과 아프리카 등을 경유한 우회 수입을 시도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AI 핵심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희토류와 원자재로 ‘역제재’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한에 대응해, 중국도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광물 자원 수출을 제한하는 맞불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략물자 관리”라는 명분으로, 희토류·갈륨·게르마늄 등의 자원 무기화를 시도하고 있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중국은 국가 주도로 AI에 막대한 자본과 정책적 집중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기술력뿐 아니라 외교·안보 전략과 연계된 AI 외교전도 본격화 중입니다.
한국도 민간 중심 AI 발전을 넘어서, 정책·국가안보·기술자립을 포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